망덕포구는 호남정맥의 끄트머리인데 지난날 호남정맥을 끝마치고 제대로 못본것같아 오늘 남해가는 길에 살짝 들러보기로 했는데 마눌이 오히려 더 좋아한다.
사람 입맛이 다르듯 여행 입맛도 다르다.
남해 다랭이마을
망덕포구에서 광양만을 한눈에 파수(경계하여 지키다)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서 '망뎅이'라 이름하였고, 이를 한자 음을 빌려 '망덕'이라 하였다고 한다.
광양시에 속한다.좌측이 배알도죽는날까지 하늘을 우르러간도에서 태어난 윤동주의 시들을 광양에서 볼 수 있는 이유를 알아보자.
함경도 출신의 조부의 간도로 이주 후 태어난 윤동주(1917.12.30~1945.2.16)는 평양숭실중과 연희전문대를 다니면서 인연이 된 정병욱(1922.3.25~1982.12.20 경남 하동,본관 진양 호는 백양)과 인연이 되었고 일제 감옥에 가기 전 시 작품들을 후배 정병욱에게 맡긴 후 옥사당했다고 한다. 이 곳 광양과의 인연은 하동과 가까운 광양에 정병욱 부친의 양조 사업장이 있어 왕래를 했었다고 한다. 하동과 광양은 섬진강 사이에 두고 있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이었다. 경남과 호남을 가로지르는 섬진강, 그 끝이 망덕포구다.
힘들게 되찾은 나라윤동주 시인은 이런 사회를 위해 서시를 읖었을까?부끄러움을 모르는 일들이 너무 많다.다름이란 이유로 이해하기 어려운 일들망덕산배알도윤동주-연희전문학교-정병욱-막걸리 사옥 연결고리~~~유명해지면 이곳저곳에서 연결고리를 찾아낸다.옛 정병욱 자취가 있는 곳,,,해설하시는 분이 쉽게 잘 설명해 주신다.
호남정맥의 끝~~~ 망덕산 입구
마지막 하산 지점에 왔지만 도체 기억이 없다.ㅠㅠㅠ 산행기를 보니 좌측 보이는 정자?는 있던데,,,,
진월공원에서
태어나기는 간도이지만멀리 이곳에서 그의 흔적을 볼수 있는 것은인연
읽어버린 나라에 대한 현실자각 속에 쓴 참회록을 쓴 이의 가슴속의 감정은 이루어지기 힘들수록 더한 고통이자 희망이었겠지이런 문학공간이 있어 너무 좋았다고~~~길게 사각박스안은 섬진강
남해로 간다.
망덕포구를 들러서 남해고속도로를 타고 ,,,나비모양같은 여수처럼 남해도 비슷하게 생겼다.우측 금산 독일마을은 예전 가본 곳이고 오늘은 다랭이마을을 거쳐 바닷가 도로를 달려본다.
점심은 난향 칼국수 집 앞에 보이는 호구산9천냥~~~면을 싫어하는 마눌도 맛있었다고 한다.오후 1시까지만~~~못먹고 발길을 돌리는 분들이 많았다.
남해 다랭이마을 가기 전에 미국마을이라는 동네가 보여 구경~~~
영구 프랑스 캐나다마을 등등 생기는 것도 괜찮을 듯호구산 용문산 산행 들머리인 듯미국마을에거 바라 본 남해 바다
다랭이마을 가는 길에 두곡해수욕장 구경~~~
해수욕장 근처저런 집도 보이고두곡해수욕장뭔산인가 확인해보나 보리암이 있는 금산
남해의 아름다운 도로를 따라서
다랭이마을~~~
오후 2시,,,덥다.션한 바람이 부는 여기서 한참 쉬다가,,,용기를 내서 뜨거운 태양 아래~~~바람도 없다.하지만 이런 뷰를 보니~~~우렁이마을 전체가 음식점인 듯~~~션한 막걸리도 보이지만~~~나이프처럼 보이는데상상력은 자유.좌측은 정자 우측은 바닷가,,,먼저 바닷가~~~위험하다고 가지 말라~~~가을에는 산으로 가보고 싶은데,,,,정자1정자2정자2에서 바라 보는 전경정자2누런 벼가 익을 때 쯤에 와도 좋을 듯~~~봄에는 유채꽃을 심는다고~~~분홍바늘꽃?박원숙 커피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