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대간9정맥(산경표)/신금남정맥(신산경표 금강정맥)

신금남정맥

by 사니조은 2020. 12. 3.

◀ 금남기맥(錦南岐脈) ▶

 

1. 금남기맥(금강정맥)이란?

 

여암 신경준 선생이 썼다고 하는 산경표에 의하면 백두대간 상의 영취산에서 분기한 금남호남정맥이 전북 완주군 소양면

과 진안군 부귀면의 접경인 모래재 위 3정맥분기점(565m봉)에 이르러 두 줄기를 내어 놓는데, 그중 남서쪽으로 진행하면

서 전라도를 좌우로 나눈 줄기가 호남정맥이고 북진하는 다른 한 줄기는 금남정맥이 된다.

즉, 금남정맥은 입봉[637m]~연석산[917m]~만항치~운장산 서봉[1,110m]~활목재~피암목재~장군봉[787m]~태평

봉수대[803m]를 지나 충청남도 금산군을 거쳐, 이치~대둔산[877.7m]~개태산~계룡산~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으로 이

어진다.

한편 박성태씨는 정맥은 ①10대강을 구획하는 산줄기이며, ②그 산줄기의 끝은 하구를 향하여 10대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

점에서 끝을 맺어야 함이 원칙인데, 산경표는 주줄기가 도성을 지나도록 의도적으로 그려진 부분이 있어 이에 실제 지형

의 원리에 맞춰 새롭게 산줄기표를 작성해 "신산경표"라 발표 했다. 그는 운장산을 지나 싸리재에서 작은 싸리재 가기 바로

직전의 봉우리(760.1m)에서 서진해 왕사봉을 거쳐 칠백이고지, 시루봉, 장재봉, 작봉산, 천호산, 미륵산, 함라산, 망해산

을 지나 장계산 아래의 금강과 서해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맥이 끝나고 이를 금강정맥이라 정의 했다. 그리고 작은 싸리재

가기 바로 직전의 봉우리(760.1m)에서 북진하여 태평 봉수대[803m]를 지나 충청남도 금산군을 거쳐, 이치~대둔산[877.

7m]~개태산~계룡산~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 아래 금강에서 끝맺는 줄기를 금남기맥이라 그 격을 낮춰 불렀다.

 

 

 

 

 

 

 

2. 금남기맥의 주요 산들

 

금만봉(755), 왕사봉(718), 칠백이고지(701), 시루봉(428), 장재봉(487), 남당산(376), 작봉산(420), 까치봉(456),

옥녀봉(711.7), 함박봉(403), 성태봉(350), 천호산(501), 용화산(342), 미륵산(430), 봉화산(211), 망해산(230),

고봉산(153), 청암산(117), 장계산(108.2), 점방산(136)

 

 

 

3. 금남기맥의 구간별 도상거리

 

금만봉(1.83) - 왕사봉(3.0) - 702고지(4.0) - 써래봉갈림길(2.6) - 용계재(0.7) - 불명산(1.2) - 시루붕(0.9) - 상선리재

(1.1) - 말골재(1.0) - 장재봉갈림길(4.0) - 남당산(3.0) - 작봉산(4.0) - 까치봉(2.2)- 말목재(1.4) - 옥녀봉(1.9) - 함박봉

(1.1) - 소룡고개(2.2) - 고내곡재(3.0) - 누항재(1.4) - 천호산(2.6) - 무드래미재(2.7) - 양동고개(2.1) - 쑥고개(2.0) -

용화산(4.2) - 미륵산(4.0) - 석불사거리(4.4) - 상마사거리(2.3) - 23번도로(5.3) - 함라우체국(1.7) - 봉화산(4.0) -

어래산성(3.5) - 수례재(2.8) - 망해산(1.6) - 취성산(1.4) - 거점재(2.6) - 창안마을(1.7) - 대명산(2.3) - 고봉산(4.1) -

26번도로(4.7) - 용화산(0.8) - 칠거리재(3.6) - 청암산(2.9) - 칠다리(1.8) - 백석교회(5.7) - 부곡사거리(5.6) -

수시탑(0.8) - 해망동부도

 

 

4. 금남기맥 구간별 개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