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좋은글들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by 사니조은 2015. 5. 13.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이 넷을 4상(四相)이라고 하는데...

이 4상이 없어야 무상보리(위없는 깨달음)를 이루는 대보살이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이 4상 이야말로 해탈을 얻지 못하게 하는 최대의 장애라 할 것입니다.

 

그럼 4상(四相)이란 무엇을 말함일까요?

 

아상(我相)이란 자기라는 고집, 즉 자기가 제일이라는 모습을 말하는데...

아상을 가진 사람은 재산, 학문, 가문, 권력, 자기의 용모 또는 힘을 믿고

자기가 최고라는 고집에 빠져 있으며 모든 사람을 업신여긴다.

즉 이것은 바로 삼라만상을 인식하고 행동하는 주체가 존재한다는 생각이며

그 주체가 곧 나 즉 아상이다.

모든 사람은 바로 이 주체인 나라는 존재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인상(人相)이란 남이라는 고집, 즉 나와 남을 나누어서 보는 모습을 말하는데...

자기에게 견주어서 남을 비교, 차별 내지 경멸한다.

즉 모든 사물에 대하여 생각할 때 항상 객관은 의식하고서 생각하며 객관에 집착하여 행동한다.

 

중생상(衆生相)이란 중생의 본능적 고집,

즉 재미있고 호감가는 것만을 본능적으로 취하는 모습을 말하며...

중생, 모든 생명체들은 즐겁고 좋은 일인듯 하면 자기가 취하려 하고

귀찮고 힘든 일이면 남에게 미루려는 생각을 가진다.

즉 주관과 객관 뿐만아니라 그 외적인 것도 전부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수자상(壽者相 )이란 생명에 대한 고집, 즉 영원한 수명을 누려야지 하는 모습을 말하는데...

모든 사람들은 자기는 늙지 않으리라는 생각, 죽지 않으리라는 생각을 갖는다. 

모든  객관의 사물들이 그 영원한 수명과 함께 하리라는 착각 속에 산다.

즉 우리가 부를 가지고 있으면 우리는 부가 영원히 나와 같이 한다고 생각하며,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그 지식이 나와 영원하다고 생각하며,

존재하고 소유하고 있는 것이 영원하며 언제나 자기와 같이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육조 스님 해설]

 

 중생(衆生)과 불성(佛性)이 본래 다름이 없건만 사상(四相)이 있으므로

 인하여 무여열반에  들어가지 못하니,

 사상(四相)이 있으면 곧 중생이요 사상이 없으면 곧 부처이니라.

 미(迷)하면 불(佛)이 곧 중생이 되고 깨달으면 중생이 곧 불(佛)이로다.

 


我相 : 미(迷)한 사람이 재보와 학문과 족성(族姓, 가문)이 있음에 의하여 모든 사람들을 

           업신여기는 것.  (마음에 능소(能所)가 있어서 중생을 가볍게 여기는 것)

 

人相 : '나는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행할 줄 안다'하고 남을 공경하지 않음. 

          (자기가 계(戒) 가짐을 믿고 파계자를 업신여기는 것)

 

衆生相 : 좋은 일은 자기에게 돌리고 나쁜 일은 남에게 돌림,

            삼악도의 고통을 싫어하여천상(天上)에 나기를 원하는 것

 

壽者相 : 어떤 경계에 대하여 취사 분별함

            마음에 오래 삶을 좋아해서 부지런히 복업을 닦아 모든 집착을 잊지 못하는 것

--------------------------------------------------------------------

 

[무비 스님 해설]

 

 '상(相)'이라는 것은 우리들의 소견이나 인식, 또는 번뇌가 '생각 상 (相)'의 상태를 지나

  어떠한 고정된 형상처럼 너무나 견고하게 우리 내부에 굳건하게 자리잡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아상(我相) : ''나' 라고 하는것, 나라고 하는 집착에서 벌어지는 모든 행위와 사건을 말함.  

                     그 나름의 자만 의식이라고 하겠습니다.

                     근본은 있는 것이 아닌데 마음 속에 생긴 병인 것입니다.

 

'인상(人相) :  나 이외의 '남이다' 하는 차별에서 생기는 배타의식이나 차별의식을 말함.

                     내 것만 좋고 내 소견만 옳다 하며 남의 의견, 남의 종교 다 물리칩니다.

 

'중생상(衆生相) : 우리는 못난 존재라는 열등의식에 사로 잡힌것을 말합니다.

                     즉 부처님의 가르침은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들이 다 부처이니

                     우리들  내부에 있는 불성을 찾아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라는 것입니다.

 


'수자상(壽者相) : 나이에 대해 편협된 집착을 말함. 즉 나는 지금 몇살이다.

                     젊었다 늙었다  우리는 나이를 먹어가는 존재이다.

                                하는 한계의식을 말하는 것입니다.

 


아상의 번뇌를 통해 인상이 나오고 또한 중생상, 수자상이 차례로 나오게 됩니다.

사실 아상은 매우 미세한 번뇌로서 끊임없이 노력을 해도 완전히 떨쳐버리기가 참으로 어렵니다.

어느 순간에는 떨쳐버렸는 줄 알았다가도 어느새 또 나에 대한 집착, 상대에 대한 고정관념이 자리잡게 됩니다.

그러나 중생상, 수자상으로 갈수록 갈수록 거친 번뇌라 비교적 상에서 벗어나기가 쉽습니다.

그래서 평소에 불자라면 적어도 중생상, 수자상은 떼어놓고 적극적으로 살아가길 권합니다.

 


요즈음, 대기업의 입사 시험에서는 지능지수보다는 의욕지수(意慾指數)를 더 중요시 한다고 하지 않습니까.

실력은 좀 떨어지더라도 의욕이 크면 그 사람은 성공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이 의욕은 바로 원력(源力)과 상통하는 것입니다.

 


서양의 심리학자들이 말하길 "20세기의 심리학에서 최대의 발견은

우리들 잠재의식(潛在意識)의 발견이다"라고 하는데 그 설명을 보면

그대로 불성의 설명이고 우리들 마음의 무한한 힘과 가능성,

우리들의 진실 생명의 위력을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들은 이것을 믿고 활용하여 바라는 것을 성취해 가야 합니다.

 


업(業)타령은 진정한 불교인이 절대로 할 것이 못됩니다.

업을 극복해 가야하고 팔자도 극복해야 하고 인연조차도 힘차게 극복해가야 합니다.

자기 스스로 중생이라고 생각하면 중생 행동밖에 못하는 것이고

부처라고 생각하면 저절로 부처 행동이 나오는 것입니다.

 


그것처럼 불교를 통해서 우리의 참생명을 바르게 이해하면

본래로 없는 아상(我相), 인상(人相),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을 낼래야 낼 수가 없고

번뇌도 저절로 쉬어질 것입니다.

 


그리하여 원력(願力)과 생명력(生命力)이 넘치는

반야의 삶을 펼쳐 보이는 보살의 인생, 부처의 인생을 살게 될 것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일타스님 법문중에서>

 

아상이란

"내가 제일이다"

 "네가 제일 잘났다" 하는 상입니다.

 

수행인 뿐만 아니라

세속의 대인관계에서도

"나" 를 높이는 아상을 꺽어 없애야 합니다.

 

아상이 없어지면

결국 상대적이고 대립적인

 인상(人相)도 따로 내세울 것이 없게 됩니다.

 

"나" 와 "너" 라는

 분별이 사라지면 중생상(衆生相)도

수자상(壽者相)도 생겨날 수 없습니다.

 

중생상은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약한 사람을

억누르고 강한 사람에게

 빌붙는 약육강생도 중생상이요.

 

자기의 일에

지나친 애착심을 갖고 남을

이기기 위해 투쟁하는 것도 중생상입니다.

 

그리고

수자상은 생사에

대한 끈끈한 모습입니다.

 

인간의

 "불로장생" 하겠다는 욕구가

바로 수자상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출처 - 정현스님  /  아비라카페 알맹이찾기)